-
[Docker] GlusterFS volume-plugin 구성 (feat.CentOS7)Docker & Kubernetes 2023. 2. 8. 14:07
* 개요
: 여러대의 서버에 대해 스토리지 클러스터링을 쓸 수 있는 오픈소스 플러그인 이다. 별도 공유스토리지(NAS 등)가 없는 경우 사용하는 방식이다.
: 이러한 볼륨 플러그인은 매우 많은 종류가 있다. 대표적으로 Ceph를 많이 쓰는 듯 함.
* 환경 구성
: CentOS 7 Server 2대, 추가 disk partition(sdb),
* 스토리지 구성
: 1번 서버 브릭 생성
# 스토리지 현황 확인 lsblk fdisk -l # 스토리지 볼륨 추가 mkfs -t xfs /dev/sdb mkdir -p /gluster/bricks/1/brick mount /dev/sdb /gluster/bricks/1/brick # mount 체크 df -h # brick 생성 및 마운트 영구 적용 vi /etc/fstab /dev/sdb /gluster/bricks/1/brick xfs default,noatime 1 1
: 2번 서버 브릭 생성
# 파일 시스템 생성 mkfs -t xfs /dev/sdb # 디렉토리 생성 및 마운트 mkdir -p /gluster/bricks/2/brick mount /dev/sdb /gluster/bricks/2/brick # 브릭 맵핑 및 설정 영구 적용 vi /etc/fstab /dev/sdb /gluster/bricks/2/brick xfs defaults,noatime 1 1
* GlusterFS 셋업
# host 설정 cat << EOF >> /etc/hosts 172.30.1.81 fsnode1 172.30.1.82 fsnode2 EOF # 방화벽 해제 : 포트 24007, 24008, 24009, 49152, 111 firewall-cmd --permanent --zone=public --add-port=24007/tcp firewall-cmd --permanent --zone=public --add-port=24008/tcp firewall-cmd --permanent --zone=public --add-port=24009/tcp firewall-cmd --permanent --zone=public --add-port=49152/tcp firewall-cmd --permanent --zone=public --add-port=111/tcp firewall-cmd --reload # plugin 설치 yum install -y xfsprogs.x86_64 yum install -y attr.x86_64 yum install -y glusterfs.x86_64 yum install -y centos-release-gluster7.noarch yum install -y glusterfs-server.x86_64 systemctl enable glusterfsd systemctl start glusterd # Peer probe gluster peer probe fsnode1 gluster peer probe fsnode2 # Check gluster pool : peer들이 잘 등록 되었는지 체크 gluster pool list # volume 생성 gluster volume create gfs \ replica 2 \ fsnode1:/gluster/bricks/1/brick \ fsnode2:/gluster/bricks/2/brick \ force # 1번 서버 mkdir -p /mapping_folder_name gluster volume start gfs gluster volume set gfs auth.allow 172.30.1.81,172.30.1.82 mount.glusterfs localhost:/gfs /mapping_folder_name # 2번서버 mkdir -p /mapping_folder_name gluster volume set gfs auth.allow 172.30.1.81,172.30.1.82 mount.glusterfs localhost:/gfs /mapping_folder_name
* 테스트
: 1번 서버에서 만든 파일이 2번 서버에서 보여지는지 체크
* 참고자료
- 플러그인 종류 : https://docs.docker.com/engine/extend/legacy_plugins/#volume-plugins
Use Docker Engine plugins
docs.docker.com
- linux root volume reduce 방법 : https://m.blog.naver.com/PostView.naver?isHttpsRedirect=true&blogId=dlatjgns&logNo=220033221806
[linux] lvm 이용 root볼륨 용량 축소하기(lvreduce, rescuemode)
기존 부팅에선 root가 사용중이므로 볼륨축소 명령어가 먹히지 않는다. 그래서 umount하기위해 &nbs...
blog.naver.com
'Docker & Kubernete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Docker] docker desktop 유료화에 따른 WSL로 무료 사용 하기 (0) 2023.05.04 [Docker] Docker 로그 관리 (0) 2023.03.15 [Docker] Docker Swarm 클러스터 구축 (1) 2022.12.26 [Kubernetes] Dashboard 셋업 및 외부 접속 설정 (1) 2022.11.23 [Kubernetes] 클러스터 환경 구축 (0) 2022.11.04